📊 청년도약계좌, 청년 재테크의 상징에서 고민거리로
윤석열 정부 시절 시작된 청년도약계좌는 높은 금리(최대 9%대 효과), 정부 지원금, 비과세 혜택 등으로 청년 재테크 상품의 대표 격으로 자리잡았습니다.
하지만 2025년 현재 상황은 달라졌습니다.
최근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가입자 225만 명 가운데 35만 8천 명(15.9%)이 중도 해지를 선택했습니다.
이는 불과 반년 전(8.2%)보다 두 배 가까이 상승한 수치입니다.
📉 해지율, 누가 더 많이 포기했을까?
데이터를 살펴보면 해지율은 소득 및 납입 여력에 따라 극명히 갈리는 모습입니다.
- 월 10만 원 미만 납입: 해지율 39.4%
- 10~20만 원 납입: 해지율 20.4%
- 70만 원 납입(최대 한도): 해지율 0.9%
즉, 적은 금액을 겨우 납입하던 청년일수록 계좌를 지속할 여력이 부족해 중도 포기하고 있다는 걸 보여줍니다.
반대로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청년들만 끝까지 유지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죠.
💸 왜 좋은 금리에도 청년들은 떠날까?
청년들의 현실을 고려하면 이유는 명확합니다.
- 취업난으로 인한 불안정한 소득
- 높아진 월세 및 생활비
- 대출 상환 부담
- 5년이라는 만기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
청년도약계좌는 제도적으로는 매력적이었지만, 청년들이 당장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었습니다.
⏳ 제도 변경에 따른 불안감
정부는 청년도약계좌의 세제 혜택을 2025년 12월 31일까지 유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존 가입자는 문제 없지만 신규 가입자는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이 소식은 오히려 청년들의 불안심리를 키우며 해지율을 더 높게 만든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 새로운 대안, ‘청년미래적금’
이재명 정부는 새로운 상품인 청년미래적금을 준비 중입니다.
- 1~3년 만기 (단기 상품)
- 만기 시 원금의 25% 정부 매칭
- 경제적 부담 ↓, 실현 가능성 ↑
또한 청년도약계좌 가입자가 청년미래적금에 갈아탈 수 있도록 연계 방안도 논의 중입니다.
🗣 인터뷰
26살 대학원생 이민지(가명) 씨의 말입니다.
“솔직히 미래의 돈보다 이번 달 월세가 더 중요했어요.”
28살 사회초년생 박재호(가명) 씨도 같은 생각을 전합니다.
“좋은 제도인 건 알지만, 제 상황에선 버틸 수 없어서 결국 해지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어요.”
청년도약계좌는 정책 취지는 좋았지만, 현실에서는 외면받는 제도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앞으로 청년 금융 상품이 진짜 도움이 되려면, 금리 숫자보다 지금 청년들의 삶과 상황에 맞는 유연한 설계가 중요하지 않을까요?
같이 보면 좋은 글들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8/ 23일) 행운의 lotto로 월요일 월차 낼수 있을까? (2) | 2025.08.23 |
---|---|
2025년 8월 22일 세계 민속의 날, 지구촌 전통과 문화의 향연 (4) | 2025.08.22 |
📌 하루가 편해지는 생활 알고리즘 20선 (12) | 2025.08.18 |
이번 주 행운과 사랑이 함께하는 별자리는 누구일까요? (7) | 2025.08.17 |
이번 주 당신의 띠별 기운, 무엇이 가장 빛날까요? (9) | 2025.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