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장마 국지성 폭우 예측 태풍예상과 대처법 총정리

by moneyfull7 2025. 6. 10.
반응형

한반도 장마는 왜 생길까?

장마는 매년 초여름, 북태평양 고기압과 시베리아에서 내려오는 찬 공기가 만나 형성된 정체전선(장마전선)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전선은 제주도부터 북상하면서 전국에 장기간 비를 내리게 합니다. 2025년에는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고 고기압 세력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돼 장마전선이 더 오랫동안 한반도에 머물 수 있습니다.

 

2025년 장마 기간은 언제?

2025년 장마는 평년보다 약간 늦게 시작되며 전체 기간은 더 길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제주: 6월 19일 시작 → 7월 말까지
  • 남부지방: 6월 23일 전후 시작 → 7월 하순
  • 중부지방: 6월 25일 전후 시작 → 7월 말경 종료

이번 장마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자주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하루 80mm 이상 폭우가 반복될 수 있습니다.

기상청이 내다본 여름 기후

기상청은 2025년 여름이 평년보다 더 덥고, 더 습하며, 더 많이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 총 강수량: 평년(622–790mm)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 40% 이상
  • 기온: 평년보다 높고, 8월까지 폭염 지속 가능성

이처럼 장마가 끝난 후에도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져 불쾌지수와 건강 관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태풍은 몇 개나 올까?

2025년엔 북서태평양에서 25~30개 태풍이 발생할 것으로 보이며, 이 중 2~3개가 한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첫 번째 태풍은 늦게 출현하고 있으며, 이는 2016년 이후 9년 만의 현상입니다.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강한 태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 근처로 진입할 경우 폭우+강풍+해일 피해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2025년 태풍 예상 시나리오

  1. 7월 초~중순: 첫 태풍 '우딥' 발생 가능 (35m/s 강풍, 중형 태풍 예상)
  2. 경로 시나리오:
    • 필리핀 → 대만 → 제주 간접 영향
    • 필리핀 → 일본 열도 → 동해 근접
    • 북상 후 약화되어 중부 내륙 강우
  3. 7~9월: 1~2개의 태풍 추가 상륙 또는 근접 가능

장마·태풍 대비 체크리스트

장기 예보와 예측도 중요하지만, 결국 중요한 건 개인의 실전 대비입니다.

  • 집안: 배수구·하수구 점검, 창문 고정, 정전 대비 비상등·물품 구비
  • 야외: 해안가·저지대 주차 자제, 공사장 인근 접근 금지
  • 정보: 기상청 날씨 알림 앱, 문자·방송 실시간 수신 설정

 

기후변화 시대, 예보의 한계와 대응

과거보다 기후가 빠르게 변하며, 정체전선의 위치 변화나 태풍의 궤도 예측에 어려움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장마와 태풍은 갑작스럽게 위력을 키워 예보와 다르게 전개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예보를 맹신하기보다 자주 확인하고, 스스로 대비 태세를 갖추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2025년 여름, 현명하게 이겨내기

2025년 여름은 장마와 태풍이 모두 예년보다 길고 강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후위기 시대, 우리는 더 이상 과거 패턴에 기대할 수 없습니다.

미리 대비하고, 서로의 안전을 살피는 행동이 올여름 피해를 줄이는 가장 중요한 열쇠입니다. 지금부터 집 주변 점검, 비상 연락 체계 정비, 날씨 정보 채널 설정 등 할 수 있는 준비부터 시작해 보세요.

반응형